카테고리 없음 2018. 1. 29. 22:30

가상화폐 열풍에 결정타를 날릴수도 있는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의 유명 가상화폐 거래 사이트인 코인체크가 해킹을 당해 무려 580억엔, 한화로 5648억원에 달하는 가상화폐가 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한다.

일본의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체크는 27일 자정쯤 기자회견을 열고 시스템에 공인받지 않은 누군가가 접속, 고객들이 맡겨 놓은 580억엔 상당의 NEM코인을 털어갔다고 밝혔다. 이들은 다행히 다른 가상화폐가 털리지는 않았지만 좀 더 정확한 조사를 위해 엔화 인출 및 거래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코인체크에 따르면 해키이 시작된 것은 26일 오전 3시쯤. 코인체크는 이를 8시간이나 지난 오전 11시쯤에야 알아채고 단계적으로 거래를 중단시켰다. 


갑작스런 대형사고 발생에 업체도 소비자도 모두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업체는 이런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하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고 보상도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곳에 돈을 맡긴 투자자들은 불안한 기색이 역력하다. 언제 거래 정지가 풀릴지도, 보상이 어떻게 될지도 불안한 상황이기 때문. 


이번 해킹은 역사에 남을 정도로 천문학적인 액수의 해킹사태라고 할 수 있다. 2014년에도 가상화폐 거래소가 해킹당해 470억엔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피해자들은 여전히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태라고 한다. WSJ는 이번 사건에 대해 디지털 화폐 역사상 최대의 해킹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며 가상화폐 열풍을 냉각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osted by 아무르1
:
카테고리 없음 2018. 1. 29. 21:00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를 시행한 정부가 채용비리에 연루된 임원들을 즉시 업무 배제하고 향후 부정이 확인되면 퇴출하는 등 강경 조치를 예고했다. 200여명에 가까운 공공기관 임직원이 당장 일에서 손을 때게 되면 이 중 8명의 기관장은 즉시 해임당한다. 수사 결과 기소된 부정합격자도 즉시 퇴출시키기로 했다.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12월말까지 시행한 공공기관 채용비리 조사 결과 총 4788건의 적발사항이 발견됐다. 이 중 특히 혐의가 짙은 109건을 선별해 당국에 수사를 의뢰하고 255건은 징계 및 문책을 요구했다. 






수사나 징계처분을 받을 중앙정부 산하 공공기관 대상자는 무려 219명에 달한다. 현직 임직원은 197명, 이가운데 기관장이 8명이나 된다. 다만 8명의 명단은 아직 수사 중이기 때문에 공개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8명의 기관장이 현재까지 조사결과 상당한 연루가 확인됐기 때문에 각 기관들의 규정에 의거해서 해임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정부 관계자는 전했다.

부정한 방법으로 합격한 이들 역시 절차를 거쳐 퇴출시키기로 했다. 부정합격자 본인이 기소될 경우 채용비리에 직접 가담한 것으로 보고 즉시 퇴출한다. 청탁자나 다른 임직원이 기소된다면 공소장에 명시된 경우에만 일정 절차를 밟아 퇴출시키기로 했다. 정부는 채용비리와 관련해 부정합격으로 수사의뢰된 인원이 50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있다.


피해자 구제도 함께 추진된다. 채용비리로 합격자가 바뀔 경우 피해자가 특정되면 원칙적으로 구제를 추진키로했다.






posted by 아무르1
:
카테고리 없음 2018. 1. 24. 00:11

관강업계가 업계별 특성을 고려한 최저임금의 점진적 인상과 정부의 사업 지원을 요청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간담회에서 비정규직 고용인력과 주말 및 야근인력이 많은 대다수 관광업계의 특성을 고려한 문체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특히 1~2성급 소규모 호텔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부담이 가중됐으며 앞으로 최저임금 1만원 시대는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저임금 인상에 맞춰 인턴에 대한 지원금액을 늘리고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력수급이 어려운 콘도업은 특히 정부지원이 절실하다는 요청도 나왔다. 또한 역시 최저임금 인상의 직격탄을 맞는 30인 미만 소규 사업장 역시 이번 대폭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지원되는 일자리 안정자금 기준을 완화해주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문체부는 관광업계 건의사항을 듣고 인력양성, 운영자금 융자 확대 등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최저임금 인상이 소비 진작, 관광 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국내 관광 활성화 등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기를 기대하며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관련 지원 대책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최저임금이 큰폭으로 인상되면서 가져올 여러 긍정적 효과도 기대되나 부정적 효과도 걱정되는것이 사실이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의 직격탄을 맞는 업계는 걱정이 더 클 수 밖에 없다.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도 기준미달로 지원받지 못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관련 대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 같다.





posted by 아무르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