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성인 3명중 2명은 지금이 집 사기 좋은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시기라는 답변은 15%에 불과했으며 20%는 의견을 유보했다. 또한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것이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8%가 오를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변화가 없을것이라는 응답은 31%, 내릴것이라는 응답은 22%로 나타나 탄핵 정국이던 1월과 큰 차이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1월 조사에는 상승전망이 20%로 2013년 최저치였고, 하락전망은 43%로 최고치였다.
건설사들이 5월 대선 이후로 대규모 물량을 쏟아내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 및 과열 현상이 나타난 가운데 이번 조사에서 집값 상승 전망이 우세한 것은 이후 부동산 시장 상황이 반영되었기 때문인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월세 관련도니 조사로 흥미롭다. 앞으로 1년간 전월세등 주택 임대료가 현재보다 오를것일까라는 질문에 52%가 오를것이라고 답했다. 변화가 없을것이라는 응답은 30%, 내릴 것이라는 응답은 11%로 오를것이라고 보는 전망이 훨씬 우세했다.
현 정부의 향후 주택시장 대출 규제 방안에 대해서는 53%가 더 강화해야 된다는 의견을 냈으며 그럴 필요 없다는 의견은 35%였다.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처음 내놓은 부동산 대책인 LTV와 DTI를 10%씩 낮추는 방안이 향후 어떤식으로 작용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계속해서 올라가는 부동산값을 내릴 수 있을지 기대된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국내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일제히 동유럽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보다 여러모로 조건이 낫기 때문이다. 왜 우리나라에서 고전을 겪고 동유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걸까? 이에대해 알아보자.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은 작년에 이어 올 들어서도 적자를 면치 못햇다. 상당한 매출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적자를 면치 못했다고. 이처럼 매출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를 면치 못한것은 연구개발 비용의 확대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한번 충전으로 500km이상 갈 수 있는 3세대 배터리 시장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비가 대폭 증가한것. 거기다가 중극의 보조금 규제까지 겹쳐 더욱 고난을 겪고있다. 한대에 300만원에서 700만원까지 달하는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면 사실상 판매가 힘든 수준인것. 거기다 업체간 경쟁까지 심화되면서 미국업체나 일본업체까지 상대해야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결국 이런 상황을 타개해가기 위하여 동유럽에 공장을 짓고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일단 완성차 업체의 공장과 거리가 가깝다. 또한 인건비도 저렴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이미 국내 완성차와 타이어 업체도 이쪽에 대거 진출해있다. 이런 환경상의 유리함 때문에 국내 전기차 배터리 공장들은 본격적으로 동유럽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고. 이미 많은 업체들이 계획일 완성해놓은 상태다. 관건은 가격경쟁력 확보다. 배터리 업체간 경쟁이 이미 심해 가격경재력 확보가 필수다.
http://imgnews.naver.com/image/5041/2015/02/23/278184_227087_3722_99_20150223193803.jpg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일제히 올랐다. 국내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긴 하나 미국 금리인상등의 영향으로 대출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시장금리의 변동폭이 커지고 있다. 사실상 금리 인상이 시작된 모습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6일 주요 은행사들이 일제히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0.01%p상승시켰다. 시장금리 상승 추세를 반영한것. 변동금리 대출은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할 때 기준으로 삼는 코픽스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하는데 코픽스 금리가 다섯달만에 0.01%p 오르면서 이를 반영하는 은행권 주택대출 변동금리가 상승한 것이다.
또한 당분간 변동금리 인상 추세는 유지될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이주열 한은 총재가 6년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국채금리도 뛰고있다. 과거에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겠다는 출구전략 신호를 보내면서 먼저 채권금리가 뛰고 대출금리가 함께 오르는 모습을 보인적이 있어 이번에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지 않을까 예상된다고.
문제는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이자부담 역시 덩달아 커지는것. 한은이 대출금리를 0.5%p만 올려도 가계의 이자부담이 연간 4조6천억 늘어날것으로 추산된다. 같은 기준으로 보았을 때 빚을 제때 갚지 못할것으로 예상되는 부실가구도 3만3천가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앞으로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안그래도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는 가계대출이 더 위험에 빠지진 않을까 우려된다.